한나 아렌트를 왜 읽는가? 최근의 작업 중에 있어 개인적인 작업의 방향은 전반적으로 여전히 한국은 한국의 특수성이 강조되기 이전의 휴머니즘적, 혹은 서구 문명의 개념에서의 ‘보편성’이 더 강조되어야 한다는 쪽의 논지로 진행되고 있다. 물론 한국의 특수성을 배제하자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그러한 특수성을 강조하는 과정에서 한국은 매우 독특하고 보편성과 특수성을 취사 선택하는 논리로 진행되어 가는 것이 문제이다. 즉 특수성을 살리기 위해 보편성을 포기해야 한다는 논지이다. 그것이 보편적 ‘인간’의 문제일지라도 말이다. 이는 한국에서 발현되는 독특한 전체주의의 형태라는 느낌도 강하다. 뭐 사실 이런 논지는 후쿠자와 유키치가 비판한 1910년대의 일본에서의 히라타 국학의 계열이 주창한 ‘국체론’에서 파생된 천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