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m you have I been absent in the spring,
반응형

음악 이야기 18

코소보의 대중음악: 발칸의 또 다른 K-pop?

사실 대중음악에 관심을 가지게 된 이유에는 내 환경적인 이유도 크지만, 그것보다는 글로벌 음악 시장에서의 작은 국가들의 영향력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시작한 문제이다. 대중음악이 가지는 힘은 과거 영국의 브리티시 인베이전이나 일본의 서브컬처의 영향력에서 볼 수 있듯이, 반드시 기존의 강대국이나 새롭게 부상한 경제 강국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 현상은 한국의 K-pop뿐만 아니라 최근 들어 코소보와 같은 작은 발칸 국가에서도 공통적으로 발견되고 있다. 작은 국가의 대중음악도 K-pop과 같이 글로벌 문화 시장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는 소프트파워의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조셉 나이(Joseph Nye)가 주창한 소프트파워 개념에 따르면, 국가의 영향력은..

음악 이야기 2024.08.09

윤종신 - Empty City

2016년의 윤종신의 걸작은 개인적으로 Empty City라고 생각한다. 매년 윤종신은 여름 즈음에 음악적 실험을 저지르는 경향이 나타나는 데 이 노래는 그러한 실험 중에서 걸작 중에 하나로 들어간다고 생각한다. 윤종신은 이른바 '월간'체제로 돌입한 이후 수작을 이러한 음악적 실험을 하는 여름과 겨울의 전통적으로 윤종신이 강점을 보이는 발라드 두 군데에서 보이는데, 여름의 수작 중에서 하나를 꼽으라면 난 이 노래를 꼽고는 한다. 이렇게 더운 여름밤에 즐기기에 좋은 곡이라는 생각도 한다. 런 편곡의 노래를 들으면 굉장히 쫀쫀하다고 느끼는데, 영어로 표현하면 feel tight 정도가 될 것 같다. 과하지도, 덜하지도 않는 편곡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부분에서는 개코의 랩핑이 생각보다 크게 작용하는데 윤종신..

음악 이야기 2018.07.16

90년대 초반의 한국의 아이돌은 왜 아티스트화되었는가?

지난 글에 이어서 하는 일종의 설명이다. 지난 글의 목적은 한국과 일본의 아이돌의 관념이 어떻게 달라졌는가를 보여주기 위한 글이었다. 다만 이 지점에서 왜 한국은 그러한 경로를 선택했는가에 대해서 물음이 남았다. 이를 어느 정도 잘 설명해주는 책이 사실 있다. “90년대를 빛낸 명반 50”은 이러한 배경을 어느 정도 잘 보여주고 있고 당대의 상황과 이른바 역사적 정리를 어느 정도 잘하고 있는 책이다. 이 책의 목적은 엄밀히 말하면 90년대의 명반이 무엇인지를 보여주려 하는 책이기에 왜 90년대의 아이돌과 아티스트가 사실상 같이 가는 결정적인 시기가 되었는지에 대한 설명은 없다. 그리고 이 책에서는 90년대가 아이돌과 아티스트가 혼재된 굉장히 이상한 시기였음을 보여준다. 이 글을 보고, 더 알고 싶으시다면..

음악 이야기 2018.07.02

다케우치 미유(竹内 美宥)- 異邦人 cover

토요일의 포스팅은 앞으로 이런 식으로 하려 한다. 이번 주에 본 컨텐츠를 간결하게 소개하는 뭐 그런. 원곡은 1979년의 구보타 사키(久保田早紀)의 노래인 異邦人이다. 커버한 가수는 현재 프듀 48에 참가중인 다케우치 미유이다. 이른바 '최애'는 아닌데, 솔직히 말하자면 난 이 분이 이미 옛적에 졸업한지 알았다. 총선에서도 권외가 된지 오래고, 원래 노래는 잘하는 것은 알았지만 아직까지도 남아 있을 줄도 그리고 프듀 48로 한국에 올 줄도 몰랐다. 한국어도 그럭저럭 공부해서 한국인과 일본인 사이에서 통역하는 장면도 몇번 잡혀있는데, 프듀48에 많은 것을 건 분이기에 잘 되었음 싶다.노래 자체는 48 안에서 굉장히 높은 수준이다. 내가 AKB를 관심있게 보기 시작한게 9기부터이고, 가장 사연 많고 커리어가..

음악 이야기 2018.06.30

아이돌이라는 개념의 한국과 일본의 괴리

프듀 48의 기획이 소문으로 돌기 시작하면서 때부터 가장 우려했던 지점은 일본의 아이돌과 한국의 아이돌의 개념이 극명히 다르다는 것을 어떻게 한국의 대중에게 이해시키는가에 대해서였다. 심지어 프듀48의 계획은 그것을 넘어서, 일본에서 현재 데뷔하고 있는 아이돌들을 한국의 연습생과 같은 현장에 투입한다는 것이었으니, 더더욱 그 괴리가 심하게 나타날 수밖에 없었다. 한국과 일본의 아이돌은 비슷했던 시기를 거쳐서 지금은 완전히 달라졌다. 한국의 대중문화는 많은 부분에 있어서 일본의 그것을 긍정적으로 말하면 레퍼런스화했고, 나쁘게 말하면 심하게 베꼈다. 냉정하게 말해 80년대의 스잔의 김승진이나 긴기리기니(함모 가수가 그대로 베낀)의 콘도 마사히코는 이질성보다는 유사성이 더 컸다. 그리고 이용과 사이조 히데키 ..

음악 이야기 2018.06.27

베낀거면 걸리지 맙시다.

아이팟을 셔플로 듣다가 한 곡이 내 귀에 탁 거슬렸다. 이렇게 해도 되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15초까지만 들어보면 된다. 2005년 이후로 연고대를 다녔거나 정기전을 가본 사람이라면 나랑 똑같은 반응일지도 모르겠다. 물론 정작 난 연고대를 다녔다고 하기에는 조큼은 복잡 미묘하지만 ㅋ. 이 응원곡의 원곡은 다음이다. 천공의 성 라퓨타 삽입곡. 君をのせて 이 노래가 리메이크 곡인데 이 정도의 유사성이 확 드러나니 원곡을 들어봐야겠다는 생각을 들었다. 편곡을 하는 과정에서 이런 서두로 시작했다는 것은 원곡에도 이런 비슷한 전개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유영석이 작곡한 7년간의 사랑이다. 최근에는 슈주의 규현이 리메이크한 적이 있다. 다만 원곡에서는 유사한 전개는 들리지만 문제를 느낄 만큼의..

음악 이야기 2016.01.15

SEKAI NO OWARI - Dragon Night

무던하게 아무 생각없이 즐겁게 듣고 있는 노래. 사실 별 감정이 없던 밴드였는데 들을 수록 이 밴드 음악 잘한다는 생각만 든다. 인디즈에서부터 돌풍을 일으켰다는 것이 무슨 소리인지 알 수 있는 음악이다. 포그라 이후 이 정도로 맘에 드는 밴드가 잘 없었는데, 기분이 좀 처질때마다 들으면서 리커버리하고 있다. 옛날 노래도 좋지만, 결국 사람은 지루함을 느끼기에 이렇게 새로운 노래를 계속 찾아 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해본다,

음악 이야기 2015.08.30

원걸의 밴드 데뷔를 보며 생각난 두 곡.

(ZONE - 証, 2002) (SCANDAL-瞬間センチメンタル, 2010) 원걸이 밴드로 데뷔한다니 생각이 난 두 밴드. 이른바 걸즈밴드, 혹은 밴드돌로 불렸던 ZONE과 현역인 SCANDAL이 떠올랐다. ZONE은 97-2005 동안 활동했고 사실 중고딩 시절에 가볍게 가볍게 오래 들었던 밴드이다. 알만한 사람은 아는 바이겠지만 Secret Base가 제일 유명한 곡이고 현재도 많이 커버 및 리메이크가 되는 노래. 하지만 개인적인 취향은 위의 証(아카시)를 최고로 뽑는다. 사실 이 방향으로 로테이션으로 한번씩 푸시했으면 어땠을까하는 생각도 있었다. SCANDAL의 노래는 2014년 펜타포트 엔딩곡으로 불렸던 노래이다. 하가렌 브라더후드의 엔딩곡으로도 쓰였고 실제로 한국인들이 SCANDAL 노래 중에서..

음악 이야기 2015.07.23

간결한 댄스음악의 구성의 매력-三代目 J Soul Brothers from EXILE TRIBE-STORM RIDERS (feat.SLASH)

최근에는 아티스트 이름만 보고 음악을 찾아 드는 수가 예전보다 많이 줄었다. 좋아하던 뮤지션들은 조금씩 힘이 빠지는 것을 느끼고, 새로운 뮤지션들의 음악은 내 귀를 조금 더 훈련시키고 길들여야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산다이메는 최근에 유일하게 그냥 뜨면 무난하게 듣는 뮤지션이다. JPOP을 모르는 사람에게 EXILE과 그 클랜에 대해서는 설명하기 참 어렵다. 차라리 AKB48를 이해시키는 것이 더 쉬울 정도이다. 굳이 말하면 피플크루 1집 당시의 컨셉(퍼포먼스팀 + 힙합댄스뮤직)과 맞닿아 있다 할 수 있는데, 이런 형태가 한국에서는 비슷한 예를 찾기 어렵기에 참 말하기 어렵다. 울랄라세션이 디스코나 훵크가 아니라 힙합계열의 댄스를 한다면 이와 비슷한 형태가 된다고 할 수 있으려나..

음악 이야기 2015.07.22

다시 돌아온 나만의 boom. 스윙

요즘 이런 노래가 당기는 걸 보니 스윙이 다시 당기나 보다. 꾸준히 스윙을 듣고 있지만, 다시 스윙이 당기는 건 참 몇년 만인지도 모른다. 이러다 다시 락스피릿이 확 당겨올지도 모르고, 다시 전위적인 일렉트로닉을 탐닉할지도 모르지만, 결국 난 이제는 저 세 안을 맴도는 듯하다. 물론 저 세개라고 하더라도 음악으로 보면 엄청나게 넓은 스펙트럼이다. 여전히 막연하게 음악을 앞으로도 듣겠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죽을 때 까지 지금 듣고 있는 음악 중에서 좋은 곡은 계속 들을 것 같고, 그리고 더 좋은 곡을 찾아서 들을 것이다. 어쨌든 좋은 노래는 계속 나올 것이고 그렇다면, 앞으로도 들을 만한 노래는 지천에 남아있다는 것 아닌가. 지나간 유행가를 여전히 소중하게 여길 생각이지만 그것만 고집하진 않을 것이다. ..

음악 이야기 2015.07.0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