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m you have I been absent in the spring,

Politics/Politics of Identitiy

Geertz의 내셔널리즘 인식에 대한 짧은 단상-원초론과 상징론의 가치-

Fulton 2013. 3. 14. 15:38
반응형

한동안 Geertz Primodialism에서 비롯된 내셔널리즘적인 시각에 대해서 큰 의미를 두지 않았다. 최근에 공부를 하다 보니 조금 생각이 바뀌는 계기가 있었다. 인종, 언어, 종교, 관습과 같은 주어진 것들이 민족 형성의 토대가 된다는 것은 분명 의미가 있다. 맹아의 수준까지라고 말할 수는 없겠지만, 내셔널리즘에 대한 많은 대중들의 인식이 어느 지점에서 출발하며 또한 그러한 내셔널리즘이 위기에 빠질 때 내셔널리즘에 심취한 대중들이 어느 지점을 다시 돌아보는가 생각해볼 때 Geertz의 견해는 분명 의미가 있다.

 

사실 이러한 Geertz Primodialism(원초론)의 대칭되는 지점은 바로 근대론이나 영속론이 아닌 상징론에 있다고 본다. 종족-역사적 상징론은 민족주의가 근대주의인 지점에 있지만 기존에 존재하던 종족적, 문화적 정체성을 강조하며 근대적인 조건을 네이션 형성의 촉매제 정도로 보면서 진정 중요한 것은 민족 형성과정에서 확인되는 경험과 실천, 의미 부여라고 보는 시각이다. [각주:1]이러한 시각을 견지하는 앤서니 스미스나 존 허친슨의 견해는 촉매로서의 상징과 Geertz의 토대로서의 내이션적 상징이라는 점에서 분명 차이가 있다.

 

이 두 논의의 충돌은 내이션적 상징을 모두 다시 한번 살펴봐야 한다는 필요성에서 출발되는 것이다. 단 상징론은 명백히 근대론적인 설명에서 기반하여 상징의 중요성을 설명하는 것이지만, Geertz의 영속론은 그와는 달리 바로 이러한 지점에서 내셔널리즘이 출발한다는 것이다. 내셔널리즘이 현대에 들어와 이러한 상징에 주목한다는 점에서 볼 때 근대론적 정통에 사실 상 중요하게 딴지를 걸 수 있는 문화인류학적 접근으로서의 Geertz의 논의는 분명 다시 볼 때 의미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물론 내이션의 기반이 서사에서 출발한다는 것이 필자의 견해이긴 하지만, 서사를 강고하게 해주는 것이 이러한 상징임을 떠올리고 서사가 위기에 처할 때 이러한 상징으로 내셔널리즘이 결집된다는 것을 떠올려 본다면 내이션이 내셔널리즘을 낳았다는 시각으로 출발해 본다면 여전히 Geertz의 논의는 그럼 내이션은 어디에서 출발했는가에 대한 좋은 답안을 던져 준다. 이것은 근대론자인 필자가 볼 때도 거의 유효한 논리성을 가진 설명이라고 생각해본다. 그것이 사실로서 맞고 틀리고를 떠나도 마찬가지다.

 

내셔널리즘이 내이션을 만들었다는 근대론과 내이션이 내셔널리즘을 만들었다는 원초론-영속론 계열의 논쟁에서 내이션적 상징이 어떠한 힘을 가지고 오늘 날까지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Geertz의 주장은 내이션적 상징은 일종의 발명품이라는 근대론과 촉매라는 상징론에 대하여 반대논리로서 여전히 기능을 하고 있다. 인간에게 영감을 주고 인간을 행동으로 이끄는 신념, 인식, 감정에 영향을 직접적으로 내이션이 어떻게 주고 있는가에 대해 강한 설명을 제공하는 원초론[각주:2]은 그러한 배경에 상징이 있다고 주장하는 Geertz에 의해 이러한 원초론에 동의의 여부를 떠나서도, 오늘도 힘을 얻고 있다

  1. 장문석, 『민족주의 길들이기』(서울: 지식의 풍경, 2007) p.59. [본문으로]
  2. 장문석, p.41. [본문으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