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m you have I been absent in the spring,

Politics/Civil-Military Relation

민군관계의 개념 설명 -8- Harries-Jenkins의 군의 관료적 속성과 균형

Fulton 2023. 8. 6. 12:59
반응형

https://helpfulprofessor.com/bureaucracy-examples/

 

여태까지는 많은 부분 전문성에 대해 이야기를 해왔지만 과연 군을 과연 전문성으로만 설명하는 것이 옳은지에 대해서는 분명 논의의 전개상 결함이 있는 질문이다. 그럼 군의 전문성과 대응되는 방식으로 군은 관료조직인가? 이 질문은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그렇다라고 답을 하지만, 이 질문에 대한 고찰은 민군관계의 역사에서 빈번하게 등장하지 않았다. 군의 전문성에 대해서는 굉장히 많은 부분 논의되어 왔지만, 군의 관료적 속성, 군의 관료적 유형과 같은 문제에 대해서는 정말 논의가 최소화된 차원이 존재했다.

이에 대해 Harries-Jenkins는 논문에서 군과 관련된 관료주의와 전문성에 대해 논의를 진행하였다(Harries‐Jenkins 1990). 군은 전통적으로 관료제적 특성을 많이 가진 조직으로 간주되었지만. 그러나 군만의 독특한 특성과 목적 때문에 일반적인 관료 조직과는 다소 차이가 존재한다고 Harries-Jenkins는 언급하며 군의 관료제적 특성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군은 명확한 계급체제와 명령 체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명령의 효율적 전달과 실행을 보장한다. 둘째는 규칙과 절차의 엄격한 준수가 있다. 군의 작동은 다양한 규칙, 규정, 그리고 절차에 기반한다. 이러한 규칙과 절차는 군사 작전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엄격히 준수되어야 한다. 셋째는 업무의 전문화와 분화이다. 군 내의 다양한 업무와 역할은 특정 전문성을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통신 전문가, 전술 전문가, 물류 전문가 등 다양한 전문가들이 군 내에서 그들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중앙 집중적 결정 체계로 군은 중앙 집중적인 결정 체계를 가지며, 이는 특히 위기 상황에서 빠른 의사 결정을 위해 필요하다.


이를 종합해보자면, 군은 단순한 관료 조직과는 다르게, 전문직적 특성도 중요하게 강조된다. 군의 전문직적 특성은 군사 작전의 성공을 위해 필수적인 깊은 지식과 전문성을 의미한다. 이러한 전문성은 군사 교육과 훈련을 통해 획득된다. 결국 군은 관료제적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그것만으로 군을 정의할 수는 없다. 군은 관료제와 전문직의 독특한 융합으로 볼 수 있으며, 이 두 가지 특성 사이의 균형이 군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 필요하다.


결국 중요한 지점은 전문직과 관료주의의 군 내 융합이다. 군은 전문직과 관료주의의 독특한 융합으로 볼 수 있다. 전문직적 특성은 군의 특정 업무와 역할에 대한 깊은 지식과 전문성을 의미하며, 관료주의적 특성은 군의 조직 구조와 운영 방식을 나타낸다. 군은 이 두 가지 특성을 결합하여 효과적으로 작동한다. 이러한 전문직과 조직의 융합에 대해서 Harries-Jenkins는 군이 전문직과 조직의 완전한 융합의 독특한 예라고 주장한다. 이는 군이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가진 전문가로 구성되어 있으면서도, 명확한 권위 구조와 규칙에 따라 운영되는 조직적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이렇게 융합되는 과정에서 전문직과 관료주의의 균형은 중요하게 작동한다. 군 내에서 전문직과 관료주의 사이의 균형은 중요하다. 너무 많은 관료주의는 군의 유연성과 반응성을 저해할 수 있으며, 전문직의 과도한 강조는 조직의 안정성과 일관성을 위협할 수 있다. 따라서 군은 이 두 가지 특성 사이의 적절한 균형을 찾아야 한다.


Harries-Jenkins의 논문은 군의 전문직적 특성과 관료주의적 특성 사이의 관계를 탐구하며, 이 두 가지 특성이 군 내에서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를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군의 효과적인 운영과 성공적인 군사 작전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를 이해할 수 있다.

Harries‐Jenkins, Gwyn. 1990. “The Concept of Military Professionalism.” Defense Analysis 6(2): 117–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