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단상69

이탈리아 토스카나 지방의 음식관에 대하여...옐레나 코스튜코비치의 『왜 이탈리아 사람들은 음식이야기를 좋아할까?』에서 인용 토스카나 요리는 간결하다는 특징이 있고 꼭 필요한 것만 메뉴로 구성된다. 이런 특성은 고대 로마 군대의 생활을 연상하게 한다. 토스카나 향연은 격식이 없다. 아마도 이 지역이 역사적으로 절대왕정, 또는 궁정의 위계질서, 손윗사람을 배려한 자리 분배, 궁정 연회 등에 대한 경험이 부족하기 때문 일 것이다. 토스카나의 요리는 기본적인 욕구를 해결하는 측면에 중점을 두고 수월하게 준비된다. 사람들은 시간을 낭비하지 않고 길에서 빵 조각을 씹듯 한 끼를 후딱 해치운다. 토스카나 요리는 무례할 정도로 간단하지만 주재료의 품질과 요리방식만큼은 아주 깐깐하다. 이곳에서는 재료의 배합을 엄격하게 규제한다. 이곳의 요리 대부분이 활활 타는 불 위에서 만들어지는데, 음식에 따라 불을 지피는 장작을 달리할 정도다. 장작은 .. 2011. 1. 24.
누텔라에 대하여..옐레나 코스튜코비치의 『왜 이탈리아 사람들은 음식이야기를 좋아할까?』에서 인용 1964년은 '이탈리아의 기적'이 있었던 시기다. 비틀즈의 인기로 세상이 떠들썩했던 당시 이탈리아도 미국의 땅콩버터에 도전하는 새 제품을 만들어내 세상에 이탈리아 음식의 명성을 알렸다. 바로 초콜릿 공장 주인이었던 피에트로 페레로와 조반니 페레로 형제가 잔두이아 크림의 또 다른 신제품을 이탈리아 시장에 내놓았고, 이후 세계시장으로 진출했던 것이다. 간식용 빵에 발라먹기 적당한 이 크림에 피에몬테 사람들은 영어 '너트nut'의 어근에 아주 부드러운 이탈리아 접미사 '엘라ella'를 붙여 '누텔라nutella'라는 이름을 지었다. 이 크림은 발음되는 소리처럼 맛도 가볍고 경쾌하고 부드러웠다. 완벽하게 이탈리아적인 이 누텔라는 당시 엄청난 반향을 불러일으키며 크림부문에서 굳건한 자리를 차지했다. 심지어 다이어.. 2011. 1. 18.
나에게 음식이란 개인적으로 맛있는 음식을 먹는 걸 참 좋아한다. 글쎄 뭐랄까 먹는 데 그리 돈을 아끼지 않는달까? 그리고 그 '맛있다.'라는 기준에는 균형이 잡혀 있어야 한다는 것이 필히 포함이 된다. 그렇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코스 계열의 요리를 좋아한다. 양식을 먹어도 파스타나 브런치만 먹는 것보다는 프랑스식 특유의 조금조금 나오는 코스를, 스시도 좋아하지만 일식집에서 나오는 코스요리를, 한식의 고기요리도 좋아히지만 한정식을, 그리고 중국집에서도 단순히 식사메뉴보다는 막 시켜놓고는 먹는 코스요리를 좋아한다. 물론 디저트까지 다 나오는. 왜이리 먹는 것을 그리 좋아하는지 모르겠다. 경제적으로도 딱히 그리 여유 있는 상황은 아니지만 그래도 먹는 데에는 사실 인색하지는 않으려 노력한다. 단 것도 좋아하고 커피는 좋아하는 정.. 2011. 1. 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