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단상69 일에 치이며 하지 않던 주제를 다루기 행정 일이 많아지면서 일에 치이면서 책도 논문에서도 멀어지고 있다. 할 수 있는 것은 사실 블로그에 쓸만한 짧은 글을 정리하고 간간히 논문을 보는 것이 전부이다. 강의 준비 및 행정일이 사실 과도한 관계로 할 수 있는 것이 확실히 제한되는 것은 좋은 일은 아니지만 이런 때에 블로그에 글을 이것 저것 정리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해본다. 최근에는 사실 스케줄을 빽빽하게 잡고 있지 않다. 업무 끝에 사람들 만나고 노는 것은 매우 즐거운 일이지만 그렇게까지 하면서 혹사하는 것이 나에게 현재는 좋을 것이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잠도 부족하고 멍 때리는 것도 부족하다. 실제로 뇌를 쉬게 해주는 것이 많이 필요한 것이 요즘의 나인 것 같다. 나에게 마음을 써주는 사람들은 고마운 일이지만 지금은 내가 사실 다른 .. 2013. 4. 12. 대중에 대한 국사 지식 수준에 한탄에 대하여 한국에서 국사 교육은 언제나 수많은 사람들에게 강조된다. 그 강조되는 이유는 바로 한국사람의 됨됨이라는 측면에서 강조된다는 것에 있다. 즉 한국사람이라면 당연히 일정 수준의 한국 역사를 알아야 하고 그러한 기억을 공유해야 한다는 어떠한 당위를 많은 사람들이 역설한다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에게 필자가 우려를 표하는 것은 과연 역사가 그런 필수 조건이냐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이 어떤 윤리적 당위까지 확대될 수 있는 지에 대한 우려이다. 역사는 하나의 교양이다. 분명 하나의 민족 단위에서 기억을 공유하는 것은 사실이나 그것은 결과론이지 동일한 민족 공동체는 일정한 기억 이상을 공유해야 한다는 원칙이 있는 것이 아니다. 민족집단이 융합되기 위해서 기억이 필요한 것이지 민족 구성원으로서 기억의 공유를 요구하는 것.. 2013. 4. 2. 서울의 일요일 오후 주말에는 집을 나온다. 어린 시절만해도 주말에 집에 있는 것을 좋아했다. 나가는 것이 귀찮고, 딱히 내가 원하는 곳을 가는 것도 아니고 대부분 가족에 의해 끌려 다니는 것이 보통이었다. 그런 것이 싫어 주말에 집에 있는 것을 참 좋아했다. 그것이 변하기 시작한 시점이 고등학교 시절이었던 것 같다. 그리고 대학을 서울로 오면서 혼자 살기 시작하면서 완전히 바뀌었다. 바뀐 이유를 고민해 보면 주말에 나오기 시작하면서 내 생활의 자율이 더 추가되었다는 것을 댈 수 있을 것 같다. 주말에 나오는 시간부터는 내 시간이니까. 서울에 와서 더 나오게 된 이유는 집에 있어도 할 일이 없었기 때문이다. 대학시절에는 하숙집이나 자취방에 있어서 주말에 할 수 있는 것은 영화감상이나 게임 정도였기 때문에 아무래도 나오는 것이.. 2013. 2. 24. 『미국미술 300년』 전시를 다녀와서-만족에 대한 고민 확실히 내가 변하긴 변한 것 같다. 영국여행에서 내 머리 속, 뇌세포 속으로 쏟아져 들어온 것은 시대를 가리지 않은 미술의 ‘걸작’들과 더불어 빅토리아 앨버트 박물관에 있었던 압도적인 숫자의 공예품들이었다. 그 ‘걸작’들과 공예품들의 늪에서 난 기어 돌아왔지만 무엇인가 크게 변해버린 모습이다. 누가 그랬던가? 수영을 가르치려면 우선은 자기 키보다 더 큰 압도적인 물에 빠트릴 필요가 있다고. 그 안에서 헤어 나오는 과정 자체가 수영을 배우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자 가장 폭력적인 방법이라고. 나는 어쩌면 미술 작품들과 공예품들에 대한 안목을 높이는 가장 폭력적이고 확실한 과정을 일 주일을 보내야 했다. 그런 과정이 나에게 무슨 변화를 줄까 했는데 일 년이 지난 오늘 크게 느꼈다. 중앙박물관에서 기획전시가 이뤄.. 2013. 2. 11. 판타지와 리얼리티 사이에서 많은 사람들이 잊고 있는 것 중 중요한 한 가지는 사람들이 보고 싶은 것은 리얼리티가 아니라 판타지라는 것이다. 다만 공감할 수 있는 것은 판타지가 아닌 리얼리티인 것이다. 즉 욕망은 판타지이며, 공감은 현실이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어떤 대중문화에서의 작품이 성공하는 것은 그것의 리얼리티 때문이라기 보다는 곧 판타지에 달린 문제이다. 이른바 ‘막장 드라마’가 한국뿐,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어느 정도 널리 있는 것도 사실 이런 차원에서 가능한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흥행과 인기, 유행은 결국 판타지에 걸린 문제이다. 많은 사람들의 욕망을 어떻게 자극하느냐가 결국 대중문화에서의 대중성 측면에서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다. 리얼리티가 우수하다면 그것은 훌륭한 ‘마스터피스’일수는 있겠지만 그것이 대중성에.. 2012. 12. 13. iPhone3Gs와 작별하며 생각보다 오랜 시간을 함께 했다. 물건을 잘 간수 못하는 나를 생각해보면 잃어버리지도 않고 잘도 오래 썼다. 앱등이로서의 시작을 알린 제품이 맥북이었다면 iPhone3GS는 본격적으로 애플에 탐닉하게 만들어 주었고 여기에 iPad까지 합쳐지면서 이른바 애플의 시대가 열렸다. 이렇게 만들어진 시스템 위에서 논문도 썼고 많은 일을 했다. 모든 일에서의 일상을 다 iPhone3GS과 iPad, 그리고 맥북이 함께 했으니 말이다. 그 중에서 당당히 한 축을 담당했던 iPhone3GS가 이제 마지막을 향해 가고 있다. iPhone5를 예약했고 금요일에 받을 예정이며 이미 케이스는 구입하였다. iPhone3GS와 헤어질 시간이 다가오고 있는 것이다. 사실 iPhone3GS는 내가 의지를 가지고 바꾼 첫 번째 핸드폰.. 2012. 12. 5. 이전 1 ··· 6 7 8 9 10 11 1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