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단상69 인디안썸머에 힘들어하며 무슨 인디언 썸머라도 되는 마냥 날씨가 요사스럽게 덥다. 이렇게 더운 날의 하늘은 무겁게만 내려오고 있다. 의욕이 떨어져 나가지만 내가 공부를 놓을 수는 없는 일이고 그냥 묵묵히 하늘만 볼 뿐이다. 무엇을 급하게 해야할 지가 좀 막막하다. 강의노트도 써야 하고, 페이퍼도 써야 하건만 의욕이 없는 뭔가 멍한 상태이다. 개강을 했음에도 무언가 내 주변에 변화가 없는 일상이 이리 무기력하게 만들었나 생각해본다. 인간에게 계절과 계절에 발맞춘 이벤트가 필요한 것은, 그것은 적절하게 자신을 환기시켜 끊임없이 새로운 모티브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라 생각해본다. 최근에 나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주위에서 몇 가지의 이벤트 덕분에 개강과 개강사이의 여름이 오히려 더 공적으로 번거롭게 만들어 주었고 덕분에 지금의 나는 개.. 2013. 9. 9. 휴식의 필요 휴가계획을 묻는 사람들에게 뭐라고 말해야 할 지 잘 모르겠다. 휴가계획을 잡지 못했고 어어 하다 보니 어느새 여름이 다가고 있었다. 머뭇거리기만 하다가 인생이 끝난다는 것이 바로 이런 것이라고 생각 해본다. 이렇게 머뭇거리기만 할 수 없다고 생각을 하는 중이다. 머리 속에서 여러가지 옵션이 있는 데, 그러한 옵션을 어떻게 고려해야 하는지에 대해 계속 고민 중이다. 사실은 급한 것이 여행이 아닐지도 모른다. 엄밀히 말하면 내게 급한 것은 휴식이니까 말이다. 조금 더 쉽게 말하자면 몸이 많이 상했다. 쉬어야 할 때 쉬지 못하고 그냥 지나친 댓가를 치루는 것이라고 혹자가 말했다. 그 진단에 대해 동의할 수 밖에 없는 것이 좀 마음에 들지 않는다. 한동안 많은 인생의 즐거움을 포기해야 할 것이라는 이야기를 들었.. 2013. 7. 29. 어제의 날씨 떠올리기 뛰기 시작하니 비가 오지 않던 장마철이 폭우시즌으로 바뀌었다. 더불어 동남아에서 스콜 오듯이 떨어지고 있다. 일상을 방해하는 것은 한두 가지가 아니지만, 이런 일이 생기면 맥 빠지는 것은 사실이다. 기상의 문제를 내가 어쩔 수는 없으니 그저 넘길 뿐이다. 해결할 수 없는 문제는 가능한 다른 대안을 생각해보는 이상의 것을 갈구할 수 없다는 것을 늘 깨닫고는 한다. 날씨 문제가 이런 문제의 대표적인 사례지만, 날씨 문제만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가끔은 내가 음악을 계속 했더라면 어떻게 되었을까라는 생각을 요새 한다. 참 쓸모 없는 망상이지만, 지금보다 어쩌면 더 재미없게 살았을 것이라는 것은 확실하다. 적어도 좋아하는 것은 취미로 둬야 행복하지 그것이 직업이 된다면 그것만큼 괴로워질 확률이 높은 행동이 없다.. 2013. 7. 14. 꿈에 관한 짧은 대화 “꿈이라는 것은 많을 수록 좋은가요?” “아니 그것은 아마 아닐 거야.” “그럼 꿈은 어떨수록 적당한거죠?” “가장 좋은 것은 자신이 이룰 수 있는 정도만 가지는 게 좋겠지.” “아아. 그 다음은요?” “자기가 더 나아질 수 있을 정도로 약간 오버한 게 좋지 않을까?” “꿈이라는 것은 수단이 아니라 목적이어야 하잖아요?” “물론. 그래도 죽도 밥도 되지 못할 바에는 차라리 수단이 되어버리는 편이 나을 거 같아.” 목적으로서의 꿈, 수단으로서의 꿈. 사실 둘다 결국 소중한 것. 2013. 7. 10. 같이 글 쓸 사람을 찾아 사람을 만나다. 글을 같이 쓸 수 있다는 사람이 있는 것은 좋은 일이다. 요즈음 사람들을 만나면 가끔 넌지시 고민하는 것 중 하나는 이 사람이 나와 글을 쓸 수 있는가 생각하는 그런 것이 있다. 다만 결과는 대개 부정적이다. 간혹 이 사람과는 같이 글을 쓸 수 있겠다 하는 것은 있지만 거의 그런 사람은 매우 매우 드물다. 그런 고민을 하는 와중에 나는 조용히 그 사람의 말을 듣고 담아 둔다. 그런 과정에서 많은 이야기를 듣는다. 그렇게 듣는 과정에서 내 생각을 전해주기도 하고, 내가 아이디어를 얻어 가기도 한다. 기대하던 소득은 없지만 기분이 나쁠 진 않다. 사람들하고 이야기 나누고 그 과정만큼 좋은 유희도 없다. 그런 유희를 통해서 내 생각도 정리하고 마음도 가다듬을 수 있다. 그 과정을 통해서 내가 무엇을 놓치고 있.. 2013. 7. 8. 성격개조사업 사적인 용도로 글을 쓴다는 것이 사치인 시기다. 처리해야 할 행정 업무는 많고 그러다 보니 이런 글 저런 글을 생각했지만 다 뒤로 밀려났고, 블로그는 버려진 채로 오래였다. 바빠진 탓이지만 관리자인 내가 제일 큰 책임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그것은 부정할 수가 없는 일이다. 무엇이 그렇게 나를 바쁘게 했을까 생각을 하니 뭔가 기분이 참담해졌다. 중학교를 다니던 시절이었던 것으로 기억을 한다. 그 시절에는 하루에 말을 세 마디 이상 한 적이 거의 없었다. 언어적인 표현을 할 만한 이유를 찾지 못했고 친우는 있어도 말을 하지 않는 그런 사람이었다. 그렇게 살면서 딱히 불편함을 느끼지 못했고 오히려 편했다. 내가 표출할 것도, 그리고 표출해야 할 이유도 찾지 못하던 때였고 그렇게 살았지만 교사들도 친우들도 그.. 2013. 7. 3. 이전 1 ··· 5 6 7 8 9 10 11 1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