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m you have I been absent in the spring,
반응형

모아보기 283

난징대학살과 기억의 정치의 중일관계의 연관성-텀페이퍼 내부에서 인용-

냉전이 점점 와해되어가면서 일본의 다나카 정부는 중일관계 개선에 역점을 두었다. 1972년 중일 수교이후 중국정부는 기본적으로 일본과 우호적인 유지하려 하였다. 중일관계가 양 국의 지도부의 왕래로 개선되고 국교가 정상화되면서 양 국은 서로의 접촉점이 증대되면서 점차 서로의 교류가 증대되었다. 이렇게 교류가 증대되면서 서로의 기억과 정체성에 대한 상호간의 교류도 증가하였다. 여기에서 서로의 기억의 정치가 충돌이 발생하였다. 과거사에 대한 서로의 해석과 인식이 달랐기 때문에 결국 서로의 기억의 교류는 불일치를 가져왔다. 교과서 문제와 망언의 문제가 본격화 된 것이 바로 이때였다. 냉전 시기에게 있어서는 이러한 충돌의 여지가 발생하지 않았지만 중일관계가 개선되면서 이런 문제는 양국관계에 있어 방해요소로 본격화..

KBL의 대중화 실패와 농구대잔치세대 팬의 승계 실패에 관하여

농구의 인기가 식은 것은 아쉽기만 하다. 농구대잔치(지금도 물론 존속하지만) 시절에 그 엄청났던 인기를 바탕으로 출범한 KBL이 프로야구나 K리그에 비해 고전을 면치 못하는 모습을 보면 농구팬으로서 많이 안타까울 뿐이다. 오히려 농구 수준이나 작전 모든 면에서 KBL이 농구대잔치보다 업그레이드 된 것은 사실이지만 흥행은 오히려 더 준 것을 볼 때 많은 면에서 생각을 하게 하였다.많은 원인이 제시되고 있다. 외국인선수가 높은 수준의 게임을 보여주면서 경기의 질을 높였지만 동시에 국내 선수들을 롤플레이어(솔직히 말하면 쩌리)로 전락시킨 것, 다른 종목에 비해 많이 떨어지는 국제 경쟁력(하아.. 국가대표), KBL의 운영 미숙, 농구대잔치 세대의 노쇠화, 선수들의 프로의식 부재등이 언급 된다. 근데 오늘 갑자..

Sports 2010.05.15

동맹 추구의 당위성

현대 국제정치학, 그 중에서 안보 분야에서 동맹은 중요한 화두 중 하나이다. 동맹과 동맹에 의존한 안보가 의존한지에 관한 논쟁은 마키아밸리와 구이차르디니, 혹은 그 이전부터 지금까지도 계속되는 논쟁중 하나이며 과연 동맹의 효력, 즉 동맹 억지가 존재하는지에 대해서도 여전히 논의되는 바이다. 하지만 안보 동맹이라는 것은 결국 실존하는 개념이며, 안보 동맹의 억지력 역시 논란의 대상이고 여전히 그 개념에 대해서는 논의가 필요하긴 하나 존재를 부정할 수는 없다. 한국과 동아시아로 눈을 돌리면 한미동맹과 미일동맹, 북중동맹이 같은 층위는 아니지만 안보동맹으로서 실존한다. 여기에 한국으로 지역적 범위를 국한하고, 동아시아에서의 행위자들과의 관계로만 본다면 몇가지의 관계가 존재한다. 미국과는 한미군사협정을 통한 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