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m you have I been absent in the spring,

음악 이야기

레트로의 로테이션-밤사와 토토가 사이에서

Fulton 2015. 1. 3. 20:49
반응형


90년대 초반의 대중음악을 향유하던 사람들이 90년대 중반과 후반의 대중음악을 비판하던 가장 큰 문구는 음악성 없는 아이돌이 석권해버린 대중음악이란 비판이었다. 실제로 90년대 초중반과 후반의 한국의 대중음악은 확실히 다른 시절을 보여준다. 레게에서 레이브로 전이된 댄스음악은 댄스아이돌 그룹의 대거 등장으로 백댄서 출신의 멤버들이 점유하던 댄스음악은 크게 변화가 왔다. 더불어 일종의 구색맞추기였던 발라드 장르가 댄스 장르의 파이를 잠식하며 주류 장르가 되는 시대였다.



90년대 초반은 이미 많은 사람들이 언급했듯이 아이돌이 아티스트였던 시대거나 혹은 그렇게 보였던 시대였다. 신해철도 처음에는 아이돌이었고, 이승환도 분명 처음에는 아이돌에 가까운 모습이었다. 김성재나 이현도, 김건모나 신승훈도 크게 다르진 않았다. 80년대 후반과 90년대 초반의 가장 큰 차이는 이러한 아이돌과 아티스트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뮤지션들의 등장이었고, 이들에 의해서 성인가요가 대중음악 시장에서 주변부적 장르가 되는 결과가 나오면서 더 이상 팝이 한국 안에서 한국 대중음악과 경쟁하던 시대는 끝이 났다.


하지만 부정적으로 평가한다면 여전히 외국 음악의 무분별한 모방과 표절은 지속적으로 나타났고, 특히 70년대부터 나타난 일본음악의 모방과 표절은 계속되었다. 물론 이는 2000년대 중후반으로 넘어가서야 극복할 수 있었던 콤플렉스였다는 점을 상기해 본다면 굳이 더 언급을 해야하나 싶기도 하다. 소년대나 히카루겐지가 소방차나 잼이되는 것을 본 필자로서는 90년대 초중반 음악이 후반과 2000년대 음악의 부심을 부릴 필요는 없다고 본다. 그것은 더 연장해서 말하자면, 냉정하게 한국음악이 조금이나마 오리지널리티로서 떳떳한 것은 최근의 일이지 7080이나 90년대나 2000년대가 얘기할 것은 아니라고 본다.


무슨 노래가 떠오르는가


한때는 나 역시도 패러다임적인 변화라는 측면에서 90년대 초중반을 높게 평가하던 시절이 있었다. 좀 더 고백하자면 엄밀히 말해 높게 평가했다기 보다는 다른 시대의 대중음악을 평가절하하던 적이 있었다. 다만 지금에 와서 돌이켜 보자니 어느 시절이나 그 시절의 음악은 의미가 있다고 본다. 단순히 평가절하를 하고 높게 평가하고 그런 문제가 아니라 그 시절의 맥락에 맞았다는 것이다. 그게 자랑스러울 수도 있고 부끄러울 수도 있지만, 일단은 그게 그 시절의 음악이었고 여전히 우리가 되돌아봐야 할 음악이라는 것이다.


15년 전에는 7080의 열기가 휩쓸고 지나갔고, 최근 3-4년 동안은 밤과 음악사이라는 주점이 90년대 초반의 음악을 중심으로 대단히 흥하였던 것을 생각하면 이제는 90년대 중후반 음악의 차례인 듯하며 실제로 무도의 토토가는 90년대 음악을 다 묶어내면서 밤과 음악사이에서 빈도수가 적던 90년대 후반의 노래들까지도 꺼내 들었다.


이른바 레트로의 로테이션이 돈 것이다. 도대체 우리에게 90년대의 대중음악 레트로가 일러주는 것이 무엇일까? 그것을 좀 짚고 싶어 졌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