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모아보기288

짧막한 런던 여행에 대한 메모 이번 런던여행에서 느낀 것 중 하나는, 이 도시가 가지는 매력은 단일한 하나의 테마가 아닌 여러 서사구조의 결집이라는 것이다. 그것이 제국의 유산이 되었건, 브리튼의 심장 혹은 세계에서 가장 전위적인 도시이건 런던이라는 도시를 하나로 설명하기에는 어려웠다. 오히려 지난 번보다 이번에 방문했을 때 그것을 좀 심하게 느꼈다. 런던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받았을 때 이제는 정말 모르겠다는 답 이상이 떠오르지 않는다. 계속 자필로 글을 써내려가고 있지만, 그것은 나의 시각과 생각일 뿐이지 공감할 수 있는 언어는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일단 써내려가긴 하겠지만, 그것으로 런던이 이렇다는 설명은 하기는 어려울 듯 하다. 일단은 내가 두 번째로 본 런던이 이렇다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가질지는 잘 모르겠다.. 2014. 2. 11.
'강신주' 현상에 대한 늦고 의미 없는 생각 강신주에 대해서는 사실 별 생각이 없다. 한국같이 문화컨텐츠가 열악한 국가에서, 대중성을 갖춘 문화컨텐츠를 제시해 줄 수 있다면 환영을 받고 대중의 인지도가 높아질 것이다. 일종의 강신주 현상은 ‘즐길 거리’가 빈약한 한국에서 적당한 품격과, 적당한 엔터테인먼트를 갖춘 ‘즐길 거리’가 되어주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강신주의 강연은 충분히 즐길거리가 되고 대중의 열광을 받는 다고 생각한다. 지나친 무시일수도 있지만, 강신주 현상에 대해 굳이 이렇다 저렇다 비판 하는 것 보다는 다른 것이 결여되어서 강신주가 환영받는다고 생각하는 게 내가 보기에는 온당해 보인다. 대한민국에서 문화컨텐츠라는 것은 창출도 유지도 쉽지 않다. 케이팝과 영화, 게임 외에 이제서야 뮤지컬이 빛을 보고 있지만 아직 갈 길은 멀고 게.. 2014. 2. 9.
작문과 나체에 대한 잡생각 교과서를 만드는 작업을 하다 보니 이런 저런 생각이 든다. 어떻게 해야 친절한 글일까, 어떻게 해야 전달력을 높일 수 있을까 등등의 생각을 하게 된다. 글에 대해서도 좀 많은 생각을 했다. 여전히 글을 못쓰는 것은 분명 사실이지만, 솔직히 고백하건대 내 스타일을 사실 포기하고 싶지만은 않다. 쓸데 없는 고집인 것은 알지만 적어도 내 글이 내 글다웠으면 하는 그런 게 있다. 그렇기 때문에 내 글에 손대는 것에 혐오감을 표시하는 지도 모른다. 사실 내 공간에 누군가 손을 대는 것을 그래서 원치 않으며 내 공간이라고 생각하는 곳에 불쑥 손이 들어오는 것도 어쩐지 혐오감이 크다. 아직도 글을 쓸 때 되새기는 말이 있다. 글을 쓴다는 것은 자신의 나체를 남들에게 그대로 보여준다는 말이다. 고등학교 때 들은 말인데.. 2014. 2. 8.
조직간 업무와 최하말단 조직에서 부서간, 혹은 회사간, 조직간 일을 할 때 그 메신저를 최하말단에게 시키는 경우가 많다. 문제는 이 경우 조직간, 부서간 이견을 최하말단이 다 감당해야 하는 문제가 벌어 진다. MMORPG에서 탱을 가장 경력이 짧은 초보에게 맞긴다는 것은 그것은 결국 총알받이로 쓰기 위함일 것이다. 그러다 어그로는 튀고 공대는 망한다. 결정권이 없는 사람에게 조직간, 부서간 사이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을 담당하게 하는 것은 아무리 봐도 비효율적인 행동인데 왜 이러한 일이 반복되고, 거기에서 벌어지는 실수들에 대해서는 최하말단이 감당해야 되는지 잘 모르겠다.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는 결단이 결국 발생하게 된다. 그 결단의 책임에 대해서 결정권이 없는 최하말단이 지는 구조는 아무리 봐도 업무처리에서 이상함을 보여준다. 결.. 2014. 2. 6.
한 학기를 정리하며 한 학기가 또 끝나가고 있다. 배우던 입장에서 가르치는 입장이 된 지 세 번째 학기다. 앞으로도 세 학기가 남은 이 시점에서 이번 학기를 정리해볼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번 학기는 뭔가 일에 항상 쫓겨 있던 학기였다. 강의 뿐만 아니라 신경써야 할 업무가 적지 않았다. 늘 드는 생각이지만 1학기보다 2학기가 훨씬 벅차다. 때마다 밀려오는 과업은 적지 않았고, 지난 학기에 끝났어야 할 일들이 끝나지 않은 채 나에게 다가오면서 더욱 바빴던 것도 분명 사실이다. 아쉬운 것은 이렇게 일에 쫓기니 강의에 투자할 시간이 많이 줄어들었다는 것이다. 물론 이것이 강의를 소홀히 이유가 되어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 내가 반성해야 할 일이 맞다. 강의를 업으로 하는 사람이 강의에 소홀해 했다는 것은 참으로 부끄러운.. 2014. 1. 8.
'물 먹은 한국과 미국'-아베의 야스쿠니 참배에 대한 짧은 소고 아베가 이 상황에서 야스쿠니를 참배한 것을 살펴보기 전에 최근의 한-미-일 관계를 한번 짚어보고 넘어가야 한다. 박근혜 대통령이 들어서면서 한국은 동북아평화협력구상을 내세운다. 이는 미국을 포함하여 동북아 국가들이 환경, 재난구조, 원자력안전, 테러 대응 등 연성이슈에서 시작해 대화와 협력으로 신뢰를 확보한 뒤 점차 다른 분야로 협력의 범위를 넓히려 하는 동북아 다자간 대화 프로세스이다. 이를 통해 아시아외교를 중시할 것임을 박근혜정부는 분명히 말하고 있었다. 하지만 분명히 일본과의 역사갈등 문제는 간단한 문제가 아님을 시사했으며, 오히려 박근혜 정부는 역사문제의 내적교류를 통하여 다른 경성이슈까지의 확대를 내세우고 있었다. 이는 역사 문제는 목적이 아니라 다른 협력의 전제로도 볼 수 있다. 미국은 중국.. 2014. 1. 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