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m you have I been absent in the spring,

Politics 154

탈냉전 이후 한일관계의 역사문제의 패턴화에 대한 서문

한일관계는 양국간의 우호관계와 지속적인 협력 증진에도 불구하고 불신과 반감이 존재하며, 양국관계의 역사문제에 의해 불신과 반감이 조장된다. 이는 양국관계의 변동과 기복으로 연결된다.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에 걸쳐 나타난 본 논문은 기존의 선행연구들과 달리 한일관계에서의 역사문제의 패턴을 행위자라는 함수를 놓고 분석하여 현재의 한일 양국관계의 역사문제가 어떻게 진행되며 지속성을 갖는지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려 한다.일반적으로 한일관계의 패턴은 선제적 움직임을 가지는 일본과 그에 대한 대응을 하는 한국에 의해 이뤄져왔다. 그리고 여기에서 단순히 정부영역뿐 아니라 관료와 미디어, 그리고 민간영역의 시민단체까지 행위자로서 개입해왔다. 그렇다고 해서 이러한 행위자들은 단순히 하나의 패턴으로만 기능하는 존..

IR세미나 후기

IR세미나 후기를 쓰는 지금은 사실 IR세미나가 끝난 지 오래인 이야기이다. 지금에 와서 이런 이야기를 쓰는 ‘명분’이 어디에 있을까하는 고민은 했지만 반성이 있어야 진보가 있고 그러한 과정을 통해 점차 나아지리라는 일종의 신앙적인 믿음에서 비롯된다. 이것은 합리가 아니다. 일종의 신앙이고 나의 태도(Attitude)의 문제라고 생각한다.처음에 내가 이런 일을 할 자격이 있는가 하는 고민을 했다. 분명 비전공자들보다야 많은 공부를 한 것은 사실이지만 내가 국제정치이론 전반을 꿰뚫고 있는 지에 대해서는 나 역시 부족한 부분이 적지 않았다고 생각해왔다. 그랬기에 매 방학마다 텍스트를 혼자 틀어박혀 읽고 되새기고 했었다. 그 과정에서 많은 발전이 있었던 것은 사실이다. 적어도 방법론 차원에서는 대학원을 처음 ..

Politics 2012.04.02

'사적 추모'에 대한 서언

동북아시아의 3국. 즉 한 중 일이 가지는 추모와 기념의 형태는 사실 유사하다. 대부분 이러한 추모의 형태의 원천으로서 나타나는 것은 바로 ‘사당’과 ‘위패’의 형태이다. 사실 이러한 ‘사당’과 ‘위패’의 추모의 단위는 본래 하나의 혈족, 혹은 인척 이상을 넘지 못한다. 즉 ‘사당’과 ‘위패’로 나타나는 추모의 형태는 궁극적으로 개인적이며 어떠한 공동체의 합의나 혹은 합리에 의한 추모가 아닌, 당위와 윤리로서의 추모의 성격을 가진다. 또한 대부분의 추모의 대상이 공동체를 지향하는 것이 아니라 도덕적 개인을 지향한다. 그리고 또한 대부분 추모와 기념이 추모와 기념 대상이 공동체와 공적 체제에 기여한 ‘삶’을 지향하는 것이 아니라 그 대상의 개인적인 ‘희생’과 ‘죽음’을 겨냥하고 있다. 이러한 형태의 추모를..

세력균형이론의 심화로서의 위협균형이론-Walt의 The Origins of Allinances를 읽고

OriginsofAlliances(CornellStudiesinSecurityAffairs) 카테고리 인문/사회 > 정치학 지은이 Walt, Stephen M. (Cornell, 1900년) 상세보기 Waltz이후에 가장 통찰력있는 현실주의 이론 전문가 중 한 명중에서 Walt의 이름은 빠지지 않는다. Walt라는 이름이 사실 Waltz와 헷갈리기도 딱 좋은 이름이지만, 사실 Waltz와는 분명 조금은 다른 입장이다. 그렇다고 Mearshimer와 학제적 차원과 연구가 비슷하진 않지만 분명 대부분 외형 상 Walt와 Mearshimer와 함께 하고 있으며, 중동이라는 지역연구를 토대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거시이론을 바라보려 한 Waltz하고는 분명히 다르다. 하지만 Walt는 Waltz의 신현실주의를 ..

국제정치학에서의 역사의 의미 - John Lewis Gaddis의 『냉전의 역사』를 읽고

냉전의역사거래스파이거짓말그리고진실 카테고리 정치/사회 > 국방/군사 지은이 존 루이스 개디스 (에코리브르, 2010년) 상세보기 필자는 사실 본 전공이 사학이 아닌지 하는 질문을 많이 받는다. 다루는 주제나 쓰는 글들에 많은 부분이 역사적 차원에서 기인하기 때문에 그런 질문을 받는 것 같다고 생각한다. 그런 질문을 받고 있는 것이 현실이지만, 필자는 외교사라는 학문적인 카테고리를 그리 좋아하지 않는다. 그러한 이유는 외교사를 통해 이론을 도출해내는 과정 자체가 가능한지에 대한 회의가 있기 때문이다. 역사는 과거를 돌아보고 현재를 분석하는 도구가 되지만 그것을 가설화하고 이론화하는 추론화 작업에는 사실 적합하지 않은 도구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어디까지, 참고자료로서의 역사이자 사례로서의 역사이지 그 역사..

질적 방법론의 학습에 대한 본인의 경험에 비춘 조그마한 팁.

본인이 질적 방법론에 대한 고민은 사실 조금 되었다. 그리고 여전히 질적 방법론에 대해서 잘 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고작 해야, 밀의 일치법과 차이법에 대해서 고민할 줄 알며, 방법론이 궁금하여 여러 책을 떠들어 본 게 사실 전부라고 할 수 있다. 엄밀히 말해 방법론에 대해 수업을 들은 것은 학부 시절의 일이며 사실 그 수업도 맛보기 이상이었다고 말하기는 어려웠다. 수업 자체가 일단 난해했기 때문이다. 쉽지 않았다. 지금 생각해도. 정치학에 있어서 사실 질적방법론의 답은 이것이라고 확실하게 말할 수 있는 것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질적 방법론에 대해 속성이 필요하다면. 본인은 다음의 여러 권의 책을 추천할 생각이 있다. 이러한 책들이 질적 방법론의 정립에 대해 필자에게 도움이 되었다고 할 수 있는 ..

Politics 2011.08.09

2002년의 세대론을 돌아보며-송호근 교수의 『한국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나』를 읽고

한국무슨일이일어나고있나 카테고리 정치/사회 > 사회학 > 각국사회/문화 > 한국사회/문화 지은이 송호근 (삼성경제연구소, 2003년) 상세보기 송호근 교수의 『한국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나』는 필자의 손에 들어온 것은 뜻밖의 기회였다. 사실 이러한 시사적 글쓰기는 고등학교 이후로는 잘 보고 있지 않기 때문에 사실 서점에 가서 이런 책은 아예 눈길을 주지 않는다. 사실 특별히 데인 것은 없지만, 공부를 진지하게 하면서 조금 멀리 둔 것 같다. 그렇게 멀리 둔 카테고리의 책이 손에 들어온 이유는 치과 치료를 하면서 치과 옆에 있던 Book-Off에 가게 되면서 였다. 사회과학 서적이 몇 권 꽃혀 있었고 굉장히 저렴했다. 2000원에 구입하면서 잡게 되었다. 그렇게 난 세대론이 한창 휩쓸고 간 한국 정치의 서..

『건국과 부국』을 읽고.

건국과부국(개정신판)이승만박정희시대의재조명 카테고리 정치/사회 > 정치/외교 지은이 김일영 (기파랑, 2010년) 상세보기 『대한민국 이야기』의 리뷰에서도 언급하긴 했지만 필자는 뉴라이트적 역사관을 독립적인 역사관으로 바라보지 않는다. 이른바 ‘좌파적 역사관’에 대한 반동으로서, 반공산주의적인 기존의 보수적 역사관에 더불어 근대주의적 Nationalism이 추가되었고, 여기에 서구적인 포스트모던적인 방법론이 약소하게나마 첨가되면서 완성된 것이 뉴라이트의 역사 체계이다. 물론 이러한 뉴라이트의 형성이 뉴라이트에 대한 비판이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뉴라이트가 독자적인 어떤 역사철학이나 체계를 가진 것은 아니라는 것은 분명하다. 『건국과 부국』이 이전에 리뷰한 『대한민국 이야기』와 다른 점은 역사적 ..

Wendt의 『국제정치의 사회적 이론』을 맛만 보며.

국제정치의사회적이론:구성주의 카테고리 정치/사회 > 정치/외교 지은이 알렉산더 웬트 (사회평론, 2009년) 상세보기 ConstructivismandInternationalRelations:AlexanderWendtandHisCri 카테고리 인문/사회 > 정치학 > 일반 지은이 Guzzini, Stefano (EDT)/ Leander, Anna (EDT) (LightningSource, 2006년) 상세보기 이 글은 사실 Wendt의 『국제정치의 사회적 이론』을 완전히 디비려는 글은 사실 아니다. 엄밀히 말하면 맛배기 정도이고, 사실 『국제정치의 사회적 이론』을 Waltz의 저서처럼 하나하나 디벼볼 의사도 있지만 읽어야 될 책도 있고 써야될 글도 있기 때문에 일단은 뒤로 미룰 생각이다. 만약 빠른 시간 ..

다문화주의에 대한 짧은 글-한국에서의 논쟁을 중심으로.

최근 노르웨이에서 발생한 테러로 인해 다문화주의에 대한 말이 다시 붐이 되고 있다. 거기에 테러범께서 친히 모범국가로 ‘한국’과 ‘일본’을 언급해주시면서,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는 여러모로 논란이 되고 있다. 이러한 담론 구조는 두 가지 방향으로 생산되고 있는데 첫째는 한국도 이러한 테러가 발생할 수 있다는 담론이며, 둘째는 현재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는 무엇인가 논의하는 담론이다. 필자는 두 가지 담론 구조 모두 사실 이런 질문을 던져보고 싶다. 한국은 다문화주의를 사실 본격적으로 내딛어 본 적도 없는 국가에서 반(反) 다문화주의의 맥락의 테러를 우려해야 하며, 또한 현재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를 논할 수 있는 지에 대해 심히 궁금하다. 물론 한국이 다문화주의를 요구 받고 있는 것은 분명 사회 여러 곳에서 ..

728x90
반응형